"야심 찬 비전의 내러티브를 만들자"
책을 쓰는 방법에 대한 것인데, 삶의 비전을 정하고 비전달성하는 것과 책을 쓰는 이유를 연결한다.장기의 동기부여를 위해 꼭 필요한 단계라고 저자는 설명한다.목표가 구체화되었다면, 12주 단위의 청크로 자르고, 청크마다 세부계획을 세운다.그리고 실행하며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을 위해 지표를 측정해서 상태를 파악한다.
우리가 무엇인가를 달성하는 과정은 프랙털이 존재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.프로덕트를 만드는 과정이 그렇고, 팀을 빌딩할 때도 동일하다.
하자 : 스텝 1번부터 4번까지 정리해보자.
STEP 1. 비전 정하기- 실행 1 야심 찬 비전을 정하자
- 실행 2 야심 찬 비전의 내러티브를 만들자
- 실행 3 단기 버전을 정하자
- 실행 4 글쓰기 비전을 정하자
- 실행 5 다음 글쓰기 프로젝트를 정하자
STEP 2. 12주 계획 짜기- 실행 6 프로젝트를 12주 청크로 나누자
- 실행 7 첫 번째 12주 프로그램의 목표를 정하자
- 실행 8 12주 프로그램 실행법을 브레인스토밍하자
- 실행 9 12주 프로그램 실행법을 결정하자
STEP 3. 계획에 따른 스케쥴 짜기- 실행 10 예시주간을 만들자
- 실행 11 목표에 쓸 지표를 정하자
- 실행 12 주간 계획을 완성하자
STEP 4. 글쓰기 실행 및 관리- 실행 13 주간 실행 루틴을 실천하자
- 실행 14 13주 차를 검토하자
책을 쓰는 방법에 대한 것인데,
삶의 비전을 정하고 비전달성하는 것과 책을 쓰는 이유를 연결한다.
장기의 동기부여를 위해 꼭 필요한 단계라고 저자는 설명한다.
목표가 구체화되었다면, 12주 단위의 청크로 자르고, 청크마다 세부계획을 세운다.
그리고 실행하며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을 위해 지표를 측정해서 상태를 파악한다.
우리가 무엇인가를 달성하는 과정은 프랙털이 존재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.
프로덕트를 만드는 과정이 그렇고, 팀을 빌딩할 때도 동일하다.
하자 : 스텝 1번부터 4번까지 정리해보자.
STEP 1. 비전 정하기
- 실행 1 야심 찬 비전을 정하자
- 실행 2 야심 찬 비전의 내러티브를 만들자
- 실행 3 단기 버전을 정하자
- 실행 4 글쓰기 비전을 정하자
- 실행 5 다음 글쓰기 프로젝트를 정하자
STEP 2. 12주 계획 짜기
- 실행 6 프로젝트를 12주 청크로 나누자
- 실행 7 첫 번째 12주 프로그램의 목표를 정하자
- 실행 8 12주 프로그램 실행법을 브레인스토밍하자
- 실행 9 12주 프로그램 실행법을 결정하자
STEP 3. 계획에 따른 스케쥴 짜기
- 실행 10 예시주간을 만들자
- 실행 11 목표에 쓸 지표를 정하자
- 실행 12 주간 계획을 완성하자
STEP 4. 글쓰기 실행 및 관리
- 실행 13 주간 실행 루틴을 실천하자
- 실행 14 13주 차를 검토하자
댓글 없음:
댓글 쓰기